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

올해 생계급여 바뀐 점, 이 글 하나로 끝내세요

by 사회복지사 실비아TV 2025. 8. 3.

시작하며

요즘처럼 물가도 많이 오르고 병원 갈 일도 많아지니, 어르신들께는 생활이 더 팍팍하게 느껴지실 수 있어요. 특히 기초연금만으로는 한 달 살림을 꾸려나가기 어려운 분들도 많으시죠. 그런데 2026년부터 생계급여가 역대 최대폭으로 인상되면서, 많은 분들이 새롭게 대상이 될 수 있게 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이 제도를 잘 모르시거나, 혹은 "나는 안 될 거야" 하고 신청조차 안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으세요. 오늘은 2026년 생계급여 인상 내용부터 신청 요령까지, 실생활 중심으로 쉽고 따뜻하게 풀어드릴게요.

 

1. 생계급여,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생계급여는 소득이 적어 기본적인 생활이 어려운 분들께 지원되는 복지 제도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소득만 보는 게 아니라, 여러 기준을 함께 따져보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더라고요.

(1) 기준 중위소득이 핵심이에요

기준 중위소득이란 쉽게 말해서 ‘우리나라 가정의 평균적인 소득’을 뜻해요. 2026년 기준으로 보면:

📝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생계급여 수급기준

가구 수 기준 중위소득(월) 생계급여 수급 기준(중위소득의 32%)
1인 가구 2,580,000원 약 825,000원
2인 가구 4,199,000원 약 1,344,000원
3인 가구 5,372,000원 약 1,719,000원
4인 가구 6,495,000원 약 2,078,000원

소득이 이 기준보다 적으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거예요.

 

2. 생계급여 신청을 망설이게 되는 이유들

많은 분들이 자격이 되는 줄도 모르고 지나치시더라고요. 그 이유들을 곰곰이 생각해보니 아래와 같은 경우가 많았어요.

📝 어르신들이 자주 하시는 걱정들

  • “나는 집이 있어서 안 될 거야”
    집이 있더라도 ‘재산 기준’ 안에 들어가면 신청 가능하세요. 대도시는 9,900만 원, 중소도시는 6,180만 원까지는 재산으로 안 보고 넘어가요.
  • “아이들이 돈 벌어서 나는 안 될걸요”
    2026년부터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거의 사라졌어요. 자녀가 고소득자거나 부동산이 많은 경우만 예외예요.
  • “신청 절차가 너무 복잡하잖아요”
    그렇지 않아요. 주민센터에 신분증, 통장 사본, 임대차 계약서 정도만 가져가면 됩니다. 나머지는 공무원이 조회해 줘요.
  • “이런 도움 받는 게 부끄러워요”
    생계급여는 시혜가 아니라 권리입니다. 평생 열심히 살아오신 어르신께 당연히 돌아가야 할 혜택이에요.

 

3. 실제로 이렇게 달라졌어요

2026년부터 생계급여는 금액도 확 올라가고, 수급 대상도 더 많아졌어요.

📝 2026년 생계급여 월 최대 지급액

가구 수 최대 지급액
1인 가구 825,560원
2인 가구 1,343,773원
3인 가구 1,718,920원
4인 가구 2,078,316원
5인 가구 2,418,150원
6인 가구 2,737,905원

※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의 소득이 있다면 그만큼 차감해서 지급돼요.

예를 들어, 1인 가구가 연금 40만 원을 받는다면, 생계급여는 82만 원에서 40만 원을 뺀 42만 원이 추가로 지급돼요.

 

4. 꼭 알아두면 좋은 꿀팁들

제가 직접 주민센터에서 도와드리면서 자주 느꼈던 점들을 정리해볼게요.

📝 이럴 땐 이렇게 해보세요

  • 일단 신청부터 하세요
    모든 서류를 완벽하게 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단 접수만 해두면 신청일 기준으로 소급해서 지급받을 수 있어요.
  • 통장 정리 미리 해두세요
    최근 3개월 통장 거래 내역을 보는데, 큰 돈이 들락날락한 기록은 미리 정리해두면 좋아요.
  • 병원비도 지원됩니다
    생계급여 수급자는 의료급여 대상자가 되어서 병원비, 수술비, 약값 등이 거의 무료가 돼요.
  • 주거급여도 함께 신청하세요
    전월세 사시는 분들께는 월세 일부도 지원해주는데, 많은 분들이 이걸 모르고 놓치세요.
  • 한 번 거절됐어도 재신청 가능해요
    기준이 매년 바뀌기 때문에, 작년에 안 됐던 분도 올해는 가능할 수 있어요.
  • 가족과 미리 이야기 나눠보세요
    자녀의 소득을 확인하는 과정이 있을 수 있으니, 미리 상의해두면 훨씬 수월해요.

 

5. 자주 묻는 질문 모아봤어요

(1) 집이 내 명의인데 생계급여 받을 수 있나요?

→ 주택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이고, 기준 재산액을 넘지 않으면 가능합니다. 계산은 주민센터에서 해줘요.

(2) 자식이 직장 다니면 무조건 안 되나요?

→ 아닙니다.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어 웬만하면 자녀 소득 때문에 탈락하지 않아요.

(3) 생계급여 신청하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 주민등록지 관할 주민센터로 가시면 됩니다. “생계급여 상담받고 싶어요”라고 말씀하시면 돼요.

 

마치며

2026년은 생계급여 제도가 대폭 바뀌는 해예요. 기준도 완화되고, 지급액도 늘어났고, 절차도 훨씬 간편해졌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먼저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에요. 내일 당장 주민센터에 전화 한 통 넣어보셔도 좋고, 직접 찾아가셔도 좋아요. 너무 늦기 전에 한 번만 용기 내 보셨으면 해요. 분명히 여러분께 필요한 도움이 기다리고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