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

5인가구 최대 116만원!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 및 지급 일정

by 사회복지사 실비아TV 2025. 3. 15.

시작하며

정부에서 저소득층의 식생활 지원을 위한 농식품 바우처 사업을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한다. 이 바우처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취약계층이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지원 제도로, 매달 일정 금액을 지급해 지정된 농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대상, 지급 금액, 신청 방법, 사용처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1. 농식품 바우처란?

농식품 바우처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대상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저소득층이 신선한 농산물과 필수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비용을 일부 지원한다.

이 사업은 기존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되었으나,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2. 지원 대상

해당 바우처는 다음과 같은 계층을 대상으로 지급된다.

  •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18세 이하 아동이 있는 저소득 가구
  • 임산부 및 영유아가 포함된 가구

위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는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3. 지원 금액

농식품 바우처는 가구원 수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다르며, 최대 10개월 동안 지원된다.

가구원 수 월 지원 금액 연간 최대 지원 금액
1인가구 4만원 40만원
2인가구 6만5,000원 65만원
3인가구 8만3,000원 83만원
4인가구 10만원 100만원
5인가구 11만6,000원 116만원

💡 예시: 4인가구라면 매달 10만원씩 총 100만원을 지급받는다.

 

4. 지원 품목

바우처는 모든 식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지정한 품목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구매 가능 품목

  • 과일·채소: 사과, 배, 감자, 당근 등
  • 우유 및 유제품: 흰우유
  • 계란 및 육류: 돼지고기, 닭고기, 신선 계란
  • 곡류 및 두부류: 쌀, 잡곡, 두부, 꿀
  • 단순 가공 농식품: 김치, 절임류 등

🚫 구매 불가 품목

  • 가공식품(라면, 즉석식품 등)
  • 음료 및 주류
  • 건강기능식품

💡 TIP: 바우처 사용 전에 지정 품목을 확인하고, 해당 품목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신청 방법 및 기간

📌 신청 기간

2025년 12월 12일까지 신청 가능

📌 신청 방법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
  • 농바우처 앱을 통해 온라인 신청 가능

📌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또는 소득 증빙자료
  • 신청서 (행정복지센터에서 작성 가능)

 

6. 사용처 안내

농식품 바우처는 전국의 지정된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오프라인 사용처

  • 대형마트: 농협 하나로마트, GS더프레시
  • 편의점: GS25, CU
  • 중소형 마트: 오아시스 마켓 등

✅ 온라인 사용처

  • 농협몰

※ 대형마트 외에도 일부 중소형 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거주 지역 내 사용 가능 매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치며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는 농식품 바우처 지원 사업은 저소득층이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이다. 1인가구 기준 연 40만원, 5인가구의 경우 최대 11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과일, 채소, 육류 등 필수 식품을 구입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

신청 기한은 2025년 12월 12일까지이며, 신청은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농바우처 앱을 통해 가능하니, 해당되는 가구라면 놓치지 말고 신청해 혜택을 받아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