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올해 장마는 언제 시작될까? 2025 장마 예보와 주의할 점 정리

by 사회복지사 실비아TV 2025. 5. 18.

시작하며

2025년 여름, 장마가 평년보다 빨리 시작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빠르게 확장하면서, 일본 남부에서는 이미 장마가 시작됐다는 발표도 있었습니다.

예년보다 2주 빠른 장마의 시작은 단순히 '비가 일찍 온다'는 뜻을 넘어, 집중호우와 돌발성 기상현상이 많아질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시간당 100mm를 넘는 폭우, 천둥, 우박 등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장마 예상 시기와 특징, 그리고 우리가 준비해야 할 부분들을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올해 장마, 정말 평년보다 빨라지는 걸까?

올해 일본에서는 예년보다 약 2주 빠른 장마 시작이 관측됐습니다.

이례적으로 오키나와보다 먼저 규슈 남부 지역에 장마가 도달한 것으로 발표되었고, 이는 아열대 고기압의 조기 확장과 관계가 있습니다.

(1)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이 왜 중요할까?

북태평양 고기압은 여름철 동아시아 날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보통 이 고기압은 일본 남동쪽 해상부터 천천히 확대되면서 정체전선, 즉 장마전선을 형성하게 됩니다.

  • 올해는 5월부터 일본 남부 해상에서 이미 정체전선이 관측되었고
  • 기상청은 이 움직임이 올여름 우리나라 장마 시기와 강수 강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2) 정체전선이란? 장마의 핵심 요소

정체전선은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부딪혀 생기는 경계선입니다.

이 경계선 위에서 비구름이 계속 만들어지기 때문에 장기간 비가 내리는 장마가 발생하게 됩니다.

  • 일본 남부 해상에서 형성된 정체전선은 6월 중순경 한국 쪽으로 북상합니다.
  • 이 전선의 위치와 이동 속도는 장마의 시작과 지속 시간에 큰 영향을 줍니다.

 

2. 여름철 장마 시기, 지역별로 어떻게 다를까?

우리나라는 지역마다 장마 시작 시기가 다릅니다.

이 시차를 이해하면 여행, 농사, 야외활동 등의 계획을 세울 때 도움이 됩니다.

🌧 지역별 장마 시작 시기 한눈에 보기

지역 평균 장마 시작일 비고
제주도 6월 19일 전후 가장 먼저 장마 시작
남부 지방 6월 23일 전후 주로 전라·경상권 해당
중부 지방 6월 25일 전후 서울, 경기, 강원 영서 등 포함

올해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장마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보되고 있으며, 다만 최근의 기후 흐름을 보면 정확한 날짜보다 비 강도와 빈도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예전 장마와 뭐가 달라졌을까?

요즘의 장마는 단순히 며칠간 꾸준히 내리는 비의 개념이 아닙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폭우성 강수, 즉 시간당 50mm 이상의 비가 집중되는 형태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 최근 장마의 특징 5가지

  • 짧고 강한 비가 반복
    예전처럼 며칠 내내 내리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간에 엄청난 비가 내리는 패턴이 반복됩니다.
  • 우박과 강풍 동반 가능성 증가
    대기 불안정이 심해져 우박, 천둥번개, 돌풍 등 돌발 기상이 더 자주 나타납니다.
  • 시간당 강수량 최대 100mm 이상도 흔해짐
    지난해에는 이런 폭우가 무려 16차례나 기록되며 도심 침수 사고도 잇따랐습니다.
  • 비 예측 어려움 증가
    기존에는 하루 단위 예보가 유효했지만, 최근에는 수시로 예보가 바뀌는 일이 잦아졌습니다.
  • 도심 침수·산사태 우려↑
    강수량 자체가 많다기보단,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형태라 대응이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4. 장마철 대비, 우리가 준비할 것은?

기상청은 오는 6월 23일, 여름철 기상 전망을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그 전에 개인과 가정에서 준비해둘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 장마철 전 미리 점검해야 할 것들

점검 항목 점검 이유
배수구와 하수구 청소 빗물 고임, 역류 방지
전기 제품 정리 침수 시 감전 위험 방지
우산·우비 준비 갑작스러운 소나기 및 폭우에 대비
차량 배터리·타이어 점검 폭우 시 도로 안전 확보
외출 시 비 예보 확인 지역별 집중호우 발생 가능성 확인

 

5. 왜 장마가 더 위험해졌는지 과학적으로 보면?

기상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가 장마 양상을 바꿨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온도가 높아질수록 대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머금을 수 있게 되고, 이 수증기가 한 번에 쏟아질 때 폭우가 되는 것입니다.

(1) 대기 불안정이 가져온 변화

  • 더운 공기와 찬 공기 사이 충돌이 잦아짐
  • 이로 인해 구름이 급격히 발달하고, 비구름의 밀도와 범위도 커짐

(2) 한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기온이 상승하면 대기 불안정이 심해지고, 강수량의 강도도 세지고 천둥번개, 우박 등 다양한 형태의 기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올해 장마는 예년보다 더 빠르게, 더 강하게 찾아올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장마가 시작됐고, 우리나라에서도 6월 중순부터는 비 소식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 형태가 예상되기 때문에, 개인과 지역사회 모두 미리 대비가 필요합니다.

장마는 단순히 젖는 것이 아니라 안전과도 직결된 문제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기억해두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