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고금리 정부지원 통장, 청년만 가능할까? 4050도 가능해요

by 사회복지사 실비아TV 2025. 10. 2.

시작하며

정부 지원 저축, 청년만 해당된다고 생각하셨나요?

사실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어요. 늘 청년 정책에 대한 이야기만 나오니까, 40대, 50대는 해당이 안 되는 줄로만 알았죠. 그런데 알고 보니 꼭 그렇지만은 않더라고요. 나이에 관계없이 정부가 ‘보태주는’ 저축 상품들이 생각보다 꽤 다양하게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을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저처럼 “난 이미 40대, 50대라서 안 될 거야” 하셨던 분들, 꼭 끝까지 읽어보시고 도움 받아보시길 바라요.

 

1. 청년만 해당된다고요? 꼭 그렇진 않아요

(1) 청년도약계좌, 꼭 청년만?

많이 알려진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이하 청년만 가입 가능해요.

하지만 조건을 맞춘다면 이 계좌 하나로도 최대 연 9%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요즘 은행 예적금이 2%대인 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수치예요.

📑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정리해볼게요

  • 대상: 만 19~34세 청년
  • 연 소득: 7,500만원 이하
  • 저축 금액: 매달 70만원 저축 시, 5,000만원까지 가능
  • 기타: 지자체 추가 지원도 있는 경우가 있음

이 통장은 특히 투자에 자신 없는 청년들에게는 정말 든든한 자산 형성 수단이 돼요. 단순 저축만으로 S&P500 수익률 못지않은 결과를 준다고 하니, 무리해서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죠.

 

2. 저소득층 청년이라면 더 큰 혜택도 있어요

(1) 청년 내일저축계좌, 조건만 되면 초대박

이 통장은 청년이어도 소득 조건이 중요한 상품이에요.

중위소득 100% 이하라면 신청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이 기준이 생각보다 넉넉해서 1인 가구 기준 월 소득 약 239만원 이하면 해당됩니다.

📑 이럴 땐 이렇게 해보세요: 청년 내일저축계좌

  • 매달 10만원 저축 → 정부가 10만원~30만원 매칭
  • 3년간 최대: 1,440만원
  • 수익 형태: 단순 이자보다 매칭 금액이 커서 수익률 최고
  • 기타: 비과세 혜택도 있어요

“나 같은 저소득층이 무슨 저축이야…” 하시지 마시고, 오히려 이런 계좌가 디딤돌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3. 나이 제한 없는 통장도 있어요

(1) 희망저축계좌, 40대 50대도 가능해요

이 통장은 드디어 나이와 상관 없이 누구나 조건만 맞으면 가입할 수 있는 저축이에요. 실제로는 저소득층을 위한 상품이지만, 많은 분들이 이 정보를 모르고 그냥 지나치더라고요.

📑 희망저축계좌는 이렇게 운영돼요

가입 조건 지원 내용 비고
생계·의료 수급자 (중위소득 40% 이하) 매달 10만원 저축 시 정부가 30만원 매칭 3년간 최대 1,440만원
주거·교육 수급자 (중위소득 50% 이하) 매달 10만원 저축 시 정부가 10만원 매칭 3년간 최대 720만원

1인 가구 기준 생계형은 월 95만6,000원 이하, 주거형은 119만원 이하이면 가능해요.

소득이 적은 비정규직, 일용직, 단기 근로자 등도 조건만 맞으면 신청 가능해요.

조건만 맞으면 40대, 50대도 전혀 문제 없이 가능한 저축입니다.

 

4. 지역별로 따로 운영하는 통장도 있어요

(1)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이건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저축이에요.

본인이 저축한 금액의 2배를 서울시가 매칭해주기 때문에, 적은 돈으로도 목돈 마련이 쉬워요.

(2) 이룸통장 (장애 청년 전용)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또 다른 특화 통장으로, 장애를 가진 청년의 자립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에요. 역시 저축액의 100%를 서울시가 지원해줍니다.

 

5. 군복무 중인 자녀가 있다면, 이것도 확인해보세요

(1) 장병 내일준비적금

군 복무 기간 동안 최대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예요.

본인이 최대 55만원까지 저축하면, 정부에서 같은 금액을 매칭해줍니다.

짧은 복무기간에도 1,000만원 가까운 목돈을 만들 수 있어요.

자녀나 가족 중 복무 중인 분이 있다면 꼭 챙겨보시길 추천드려요.

 

6. 우리 지역도 지원하나요? 꼭 확인해보세요

청년계좌나 희망저축은 전국적으로 운영되기도 하지만, 지자체별로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지자체별로 이런 프로그램이 있어요

  • 인천광역시: 희망저축계좌 운영
  • 경상남도 창원시: 내일통장 운영
  • 경기도 포천시: 포천재활센터 중심으로 저축계좌 운영
  • 전북 순창군, 전주시: 청년·저소득층 대상 저축사업 있음

제가 사는 부천도 복지정책이 꽤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어요. 청년 복지과나 사회복지과에 문의하시면 자세히 알려주시더라고요.

 

마치며

처음에는 ‘나는 나이도 많고 조건도 안 될 거야’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하나하나 살펴보니까 조건만 맞으면 정말 다양한 정부지원 저축이 가능하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특히 희망저축계좌 같은 경우는 나이와 관계없이 참여 가능하다는 점에서, 40대, 50대에게도 정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였고요.

혹시라도 지금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거나, 자산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꼭 한 번 살펴보시고 신청해보세요.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주민센터나 복지포털에서 조금만 도와달라고 하면 충분히 가능해요.

정부에서 주는 지원금, 받을 수 있을 때 꼭 챙기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