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

대중교통 자주 이용한다면? K패스로 월 최대 100% 환급받는 방법

by 사회복지사 실비아TV 2025. 3. 31.

K패스 카드로 교통비 절약하는 방법, 연 22만원까지 환급 가능

정부에서 지원하는 교통비 환급 제도를 알고 있는가? 일상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연간 20만원이 넘는 교통비를 돌려받을 수 있는 기회다. 바로 K패스 카드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며, 2025년부터는 적용 대상이 더 넓어졌다.

1. K패스란 어떤 제도인가?

K패스는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국민에게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는 방식의 교통비 지원 제도이다.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 지정된 카드로 결제하면, 월간 이용 횟수와 금액에 따라 환급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소득이나 나이, 가족 구성에 따라 환급 비율이 다르게 적용된다.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환급 가능
  • 환급 방식: 현금, 카드 청구 할인, 마일리지 중 선택
  • 청년, 저소득층, 다자녀 가구 등에게 높은 비율 적용

2. 2025년 달라진 제도 주요 포인트

올해는 특히 제도 이용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대상 지역, 환급 조건, 신청 자격 등이 변경되어 더 많은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 특징이다.

① 신규 참여 지역 확대

  • 2025년에는 21개 지역이 새로 추가됨
  • 전국 총 210개 시군구에서 신청 가능
  • 대중교통 이용률이 낮은 일부 지역(전남·경북·강원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 적용

② 외국인도 신청 가능

  • 만 19세 이상
  • 외국인등록증 소지자
  • 해당 지자체에 주민등록 또는 거소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③ 지역별 추가 혜택 차등 적용

  • 경기도, 인천, 경남은 환급 횟수 제한 없음
  • 인천 고령자(65세 이상) 환급 비율 30%
  • 광주·경남: 청년 기준을 만 39세까지 확대
  • 경남 고령자 환급 비율 최대 50%, 일부 100% 환급

3. 계층별 환급 비율

지원금은 누구나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본인의 연령, 소득 수준, 가족 구성 등에 따라 환급 비율이 달라진다.

구분 환급 비율
청년(만 19세~34세, 일부 지역 39세까지) 30%
저소득층 53%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 50%
일반 계층 20%

4. 카드사별 혜택 차이

K패스는 다양한 카드사와 연계되어 있으며, 카드사마다 혜택 내용이 다르다. 같은 제도를 이용해도 어떤 카드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환급 방식과 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

카드사 신용카드 혜택 체크카드 혜택
신한카드 10~30% 교통비 할인 10~30% 교통비 할인
국민·삼성·우리카드 교통비 10% 캐시백 -
농협카드 10% 교통비 할인 10% 현금 환급
하나카드 10% 할인 10% 캐시백
기업은행 1회당 100~300원 환급
현대카드 10% 할인
BC 바로카드 15% 할인

5. K패스 신청과 이용 방법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카드를 발급받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반드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 K패스에 등록해야 한다.

① 카드 발급

  • 참여 카드사 또는 은행에서 전용 카드 신청
  •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중 선택 가능

② K패스 등록

  • K패스 공식 홈페이지 접속(k-pass.or.kr)
  • 본인 인증 후 발급받은 카드 등록

③ 대중교통 이용

  • 등록된 카드로 버스, 지하철 이용
  • 월 이용 내역 자동 집계 후 다음 달 환급

6. 실제 환급 금액 예시

교통비 환급은 본인의 월 이용 금액과 해당 계층에 따라 달라진다. 아래는 다양한 경우에 따른 환급 예시이다.

  • 일반인, 월 10만원 사용 → 20,000원 환급
  • 청년, 월 10만원 사용 → 30,000원 환급
  • 저소득층, 월 10만원 사용 → 53,000원 환급
  • 경남 고령자, 월 10만원 사용 → 50,000원 환급
  • 경남 저소득층 + 75세 이상, 월 10만원 사용 → 전액 100,000원 환급

7. 지역별 유의사항

대부분 지역에서 K패스 신청이 가능하지만, 몇몇 지역은 아직 제도 적용이 되지 않았다. 특히 대중교통 이용이 적은 농어촌 지역은 미적용일 수 있으므로, 사전에 거주지 지자체 참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전남·경북·강원 일부 지역은 적용 제외
  • 주소지가 신청 기준이므로 이사 시 혜택 변동 가능
  • 지역별 환급률과 적용 연령 기준 상이

8. 자주 묻는 질문(FAQ)

① K패스를 등록하지 않으면 환급이 되나요?

아니다. 카드를 발급받은 후, 반드시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 등록해야 환급 대상이 된다.

② 교통비 외 소비에도 환급이 되나요?

해당되지 않는다. 환급은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이용 건에 한해 적용된다.

③ 환급 시기는 언제인가요?

매월 이용 금액과 횟수를 기준으로 정산되어, 다음 달 중 현금, 포인트 또는 카드 청구 할인으로 환급된다.

④ 이사하거나 주소가 바뀌면 혜택도 바뀌나요?

그렇다. 주소지가 바뀌면 새로운 지역의 정책 기준이 적용되므로, 이사 후에는 다시 확인이 필요하다.

9. 마치며

K패스 교통비 환급 제도는 특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 유용한 제도이다. 신청만 해도 매달 교통비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으며, 연간 환급액이 평균 22만원 수준으로 상당히 크다.

지금까지 신청하지 않았다면 늦기 전에 카드 발급과 등록을 완료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자신이 청년이거나, 저소득층 또는 고령자라면 환급률이 더 높아지므로 더욱 유리하다. 카드 발급은 은행 또는 카드사를 통해, 등록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간단히 가능하다.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K패스 고객센터(031-427-4415)로 전화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