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

2025년 기초연금, 받는 사람과 금액 이렇게 달라집니다

by 사회복지사 실비아TV 2025. 8. 11.

시작하며

올해 기초연금 제도가 44년 만에 가장 크게 바뀌었다고 합니다.

금액이 올라서 반가운 분들도 있지만, 오히려 줄어서 당황하신 분들도 많으시더라고요.

특히 부부로 받는 경우, 국민연금을 함께 받는 경우,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꼭 확인해야 할 변화가 있습니다.

저도 주변 어르신들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건 꼭 알려드려야겠다” 싶었어요.

오늘은 2025년 기초연금의 새로운 기준과 실제 수령액이 달라지는 이유를 생활 속 예시로 풀어드리겠습니다.

 

3. 2025년 기초연금, 이렇게 달라졌어요

1. 선정 기준액이 대폭 인상

올해부터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는 소득·재산 기준액이 크게 올랐습니다.

  • 단독 가구: 월 소득인정액 228만 원까지
  • 부부 가구: 월 소득인정액 364만8,000원까지

작년보다 단독 가구는 15만 원, 부부 가구는 24만 원이 올랐어요.

이 덕분에 작년에 탈락했던 분들도 올해는 다시 신청하면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최대 금액 34만3,000원… 하지만 실제론 다 못 받는 경우 많아요

2025년 기초연금 최대 금액은 월 34만3,000원입니다.

작년보다 약 8,000원 오른 셈이죠.

하지만 부부 감액, 국민연금 연계 감액, 소득역전방지 감액 같은 제도 때문에 실제 받는 금액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저희 동네에서도 “분명히 받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적게 들어왔다”는 사례를 많이 들었어요.

 

4. 내가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보기

(1)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소득인정액 = 월소득 평가액 + 재산의 월소득 환산액

여기엔 단순히 월급뿐 아니라 집, 땅, 예금까지 포함됩니다.

다만 기본재산액 공제가 있어 부담이 조금 줄어듭니다.

📝 재산 계산 시 기억할 점

  • 대도시 거주: 1억3,500만 원까지 공제
  • 중소도시: 8,500만 원까지 공제
  • 농어촌: 7,250만 원까지 공제
  • 금융자산: 2,000만 원까지 공제
  • 대출은 부채로 빼줌

예를 들어 서울에 5억 원짜리 아파트 한 채가 있다면,

5억 - 1억3,500만 원 = 3억6,500만 원을 계산 기준으로 잡습니다.

 

(2)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일하시는 어르신들은 근로소득 공제 혜택이 큽니다.

  • 월급에서 110만 원 기본 공제
  • 남은 금액의 30% 추가 공제

예: 월급 200만 원 →

200만 원 - 110만 원 = 90만 원

90만 원 × 70% = 63만 원만 소득으로 계산

 

(3) 자동차 기준 완화

예전에는 배기량이 3,000cc 이상이거나 시가 4,000만 원 이상이면 제외됐지만,

이제는 배기량 상관없이 시가 4,000만 원 이상만 고급 자동차로 봅니다.

 

5. 감액 제도 3가지

📝 왜 34만 원 전액을 못 받을까?

  1. 부부 감액 – 부부가 함께 받으면 각 20%씩 깎임
  2. 국민연금 연계 감액 – 국민연금 월 51만5,000원 이상 받으면 줄어듦
  3. 소득역전방지 감액 – 기초연금 받으면서 기준을 초과하면 초과분만큼 깎임

 

6. 신청할 때 기억할 점

📝 이렇게 준비하세요

  • 생일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
  •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 거동 불편 시 ‘찾아뵙는 서비스’ 요청 가능 (☎ 135)
  • 탈락하더라도 ‘수급희망 이력관리제’ 신청해두면 기준 변경 시 연락받음

 

7. 부부 감액, 앞으로 사라집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 2027년: 감액률 20% → 10%
  • 2030년: 완전 폐지

즉, 부부가 각각 34만3,000원 전액 받을 날이 머지않았습니다.

 

8. 올해부터 달라진 추가 혜택

  • 자녀 지원 공제 확대 – 따로 사는 자녀가 부모님 병원비나 교육비를 지원해도 공제 가능
  • 가정폭력 피해자 인정 범위 확대 – 법적 이혼 전이라도 단독가구로 인정
  • 해외 체류 60일 이상 시 지급 정지 – 여행 계획 시 주의
  • 직역연금 수령자 제외 –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

 

9. 꼭 기억할 체크리스트

📝 이럴 땐 꼭 다시 신청하세요

  • 작년에 탈락했지만 올해 기준액이 올랐다면
  • 자동차 배기량 때문에 포기했다면 (이제 상관없음)
  • 근로소득 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면
  • 국민연금이 감액 기준 이하라면

 

마치며

기초연금은 단순한 용돈이 아니라, 노후의 최소 생활을 지켜주는 안전망입니다.

정부 지원 기준이 완화된 만큼, 올해는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내가 해당되는지 헷갈린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꼭 문의해 보세요.

저도 주변 어르신들께 이렇게 말씀드리고 있어요.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면, 놓치지 말고 챙기시길 바랍니다.